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공부

위층 윗층 / 웃어른 윗어른/ 위쪽 윗쪽 /웃옷 윗옷 맞는 표기는?

by 민크라운♡ 2022. 10. 12.

섬네일

위층과 윗층, 웃어른과 윗어른, 위쪽과 윗쪽, 웃옷과 윗옷 중 맞는 표기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위층, 웃어른, 위쪽, 웃옷과 윗옷은 둘다 정답입니다. 정답이 되는 이유와 간단한 예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반응형

윗층 위층, 위쪽 윗쪽  표기, 사이시옷의 조건을 파악하자  

사이시옷을 어떤 경우에 쓰는지 그 조건 파악하면 위층과 윗층의 표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첫번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일 경우 쓸 수 있습니다. 합성어는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는 어근이 결합한 형태입니다. 예로 돌+다리, 책+가방 등이 있죠. 

 

두번째, 순우리말+순우리말, 한자어+순우리말, 순우리말+한자어인 합성어야 합니다. 단어가 한자어로만 이루어졌거나 외래어인 경우(피잣집x)에는 사이시옷 규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세번째, 뒷말의 소리가 ㅍ,ㅌ,ㅊ,ㅋ 등과 같은 거센소리 ㄲ,ㅉ,ㄸ,ㅆ 등 된소리가 아니어야 합니다. 

 

 

위층은 순우리말 '위'에 한자어 '층'이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위' 다음에는 ㅊ시작하는 거센소리가 오기 때문에 윗층의 표기가 틀린겁니다. 비슷한 예로 아래층이 있습니다. 아랫층이라고 쓰지 않고 아래층이라고 쓰는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위턱, 위팔 등도 윗턱, 윗팔과 같이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위쪽 역시 합성어이긴 하나 뒤에 ㅉ으로 시작하는 된소리가 오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쓸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위쪽의 표기가 맞습니다. 

웃 윗 를 구별하는 방법 -웃어른,윗어른/ 윗옷,웃옷 의 표기

웃과 윗의 차이는 바로 아래와 위를 구분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있습니다. 웃은 아래 위를 구별할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웃어른의 반대 개념인 아래어른이 없기 때문에 윗어른의 표기는 틀리게 됩니다. 따라서 웃어른이 정답입니다. 본래의 값에 덧붙이는 돈을 뜻하는 웃돈 역시 아래돈이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웃돈이 정답이 됩니다.

 

아래 위의 대립이 있는 경우에는 윗을 씁니다. 아랫니, 윗니/ 아랫목, 윗목/ 아랫도리, 윗도리 상의를 뜻하는 말은 웃도리가 아니라 윗도리가 맞습니다. 윗도리의 동의어인 윗옷역시 아래 위가 대립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윗옷이 맞습니다. 

 

한 가지 더 설명드리자면 윗옷, 웃옷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상의를 뜻할 때는 윗옷, 외투를 뜻할 때는 웃옷을 씁니다. 아래 예시를 정리해두었습니다. 

 

  • 그녀는 여행을 하기 위해 윗옷을 세벌 준비했다.(상의)
  • 날씨가 추워서 웃옷을 걸쳤다.(외투)  

오늘 배운 것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① 위 다음에 거센소리나 된소리가 오는 경우 윗이 아닌 위를 써야한다. 

② 웃-과 윗-의 차이는 아래와 위를 구분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알아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층, 웃어른, 위쪽, 웃옷, 윗옷의 맞는 표기를 알아보았고 왜 이것들이 정답이 되는지도 공부해 보았습니다. 웃,윗,위 정말 헷갈리는데요. 계속 쓰다보면 금방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